본문 바로가기
회계와 재무 그리고 경제 이야기

채권과 듀레이션에 대한 가장 쉬운 설명

by 재무천재1008 2023. 9.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채권에서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듀레이션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채권은 듀레이션 없이는 설명할 수 없는 만큼 가장 쉽게 설명해보고자합니다. 

 

목차
1. 듀레이션이란?
2. 듀레이션의 계산
3. 듀레이션의 속성
4. 듀레이션의 면역효과

 

1.듀레이션이란? 

 

 "듀레이션은 진정한 채권의 만기이자 채권의 무게중심 "

 

 - 듀레이션은 채권투자로 의한 현금흐름의 가중평균 기간으로 정의합니다.  이해하기 어려우시죠? 하나씩 이해해

   나가면 쉽습니다. 먼저 1년후 만기가 되는 100만원짜리 채권이 있다고 합시다. 이 채권은 이자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 채권의 듀레이션은 당연히 1년 입니다. 즉, 1년에 진정한 채권의 만기가 도래한 것입니다. 이 경우는

   듀레이션과 보통 통용되는 채권의 만기가 같은 경우입니다. 그럼 이 두개념이 달라지는 것은 언제 일까요? 

   

 - 바로 이자가 존재할때 입니다. 2년 짜리 만기인 채권이 있고 1년 후 이자 10만원 그리고 2년후 이자 10만원과

   원금 10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채권이 있다고 합시다. 이 채권의 가중평균 기간은 언제 일까요? 즉, 채권에 

   표기된 2년 보다 짧게 됩니다. 가중평균이라는 의미를 어럽게 접근하지 말고, "무게 중심"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어디가 무게 중심이 될까요? 30센치 막대기를 떠올려 봅시다. 그리고 10 센티되는 지점에 동전을 올리고 또 30센티

   되는 지점에 동전을 올렸다고 상상해 보세요. 어디에 손가락을 받쳐야 이 막대기가 떨어지지 않고 평형을 이룰까요?

 

2.듀레이션의 계산

 

 " 각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를 현재의 채권 가격으로 나눈 것"

 

 - 앞서 설명한 대로 무게 중심이 곧 듀레이션이라고 했습니다. 30센티 막대기에 답을 찾으셨나요?

   네 맞습니다. 당연히 30센티 되는 지점 보다 안쪽 어딘가에 손가락을 받쳐야 막대가 평형을 유지

   할 것입니다. 

 

 - 이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t x 현재가치의 합계) / 채권의 현재가격이 됩니다. 

 

3.듀레이션의 속성 

 

 -  1. 듀레이션은 채권의 만기가 길어질 수록 증가합니다. (막대기가 길수록 증가) 

    2. 액면이자율이 높을 수록 듀레이션은 감소합니다. (막대기 중간에 동전이 많을 수록 감소) 

    3. 만기수익률이 높을 수록 듀레이션은 감소합니다. 

    4. 만기에 가까워질 수록 듀레이션은 감소합니다.(막대를 조금씩 잘라나갈수록) 

   

4.듀레이션의 면역효과 

 

 - 기존 포스팅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시장 이자율이 높아지면 채권의 가격은 반대로 하락하게 됩니다. 

   반면, 그 이자를 활용해 시장 이자율 만큼 다른 채권등에 그대로 투자한다고하면 투자의 이익은 올라갑니다.

   이러한 양방향의 효과의 중간상태, 즉 양측이 동일한 지점이 발생하여 시장 이자율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투자자의 투자이익이 변화하지 않게 되는데 이 것을 면역효과라고 부릅니다.  

 

 -  그리고 이 면역효과가 발생하는 그 지점이 바로 듀레이션이 됩니다. 따라서 이 듀레이션에 맞추어 투자를

    한다면 시장이자율에 대한 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게 됩니다. 즉 투자자가 원하는 특정시점에 리스크가 없는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것을 우리는 목표시기 면역전략이라고 부릅니다. 

반응형